소화생리

Cards (120)

  • 섭취된 음식물의 과정
    • 소화
    • 분비
    • 흡수
    • 운동
  • 소화 부속기관
    • 침샘
    • 쓸개
    • 이자
  • 소화관의 층
    • Mucosa (점막)
    • Submucosa (점막 하층)
    • Muscular layer (근육층)
    • Serosa (장막)
  • 음식물 섭취량 조절

    시상하부(hypothalamus)에 있는 음식물 섭취중추(intake center)에 의해 이루어짐
  • 음식물 섭취를 조절하는 중추
    • 섭식중추(feeding center, 시상하부의 가쪽핵)
    • 포만중추(satiety center, 시상하부의 배쪽안쪽핵)
  • 소화관 조절
    Autonomic nervous system (ANS)에 의한 조절
  • 자율신경계의 역할
    • 부교감신경(PSNS): 소화관 운동과 소화액분비 촉진
    • 교감신경(SNS): 소화관 운동소화액분비 억제
  • 음식물 섭취 조절 이론
    • 당조절기설(glucostat theory, 포도당 항상성 이론)
    • 온도조절기설(thermostat theory)
  • 소화관 벽의 신경얼기
    • 근육층신경얼기(근간신경총, myenteric plexus)
    • 점막밑신경얼기(점막하신경총, submucous plexus)
  • 씹기(저작, mastication)

    1. , 입술, 뺨 및 혀에 의해 이루어지는 복합적인 과정
    2. 씹기근육의 앞뒤운동과 회전운동은 수의적으로 이루어지기도 하지만 거의 반사적인 운동임
    3. 씹기를 조절하는 중추는 숨뇌(연수, medulla oblongata)에 있으며, 이를 조절하는 고위중추는 대뇌겉질에 있음
  • 삼키기(swallowing)
    1. 씹혀서 분쇄된 음식물 덩어리가 인두의 뒤쪽에 접촉되면 입천장 반사에 의해 식도를 따라 위로 이동되는 과정
    2. 삼킴조절 중추는 숨뇌(연수, medulla oblongata)에 있음
  • 입안에서의 소화 단계
    • 1단계(입안기)
    • 2단계(인두기)
    • 3단계(식도기)
  • 침(타액, saliva)
    주로 큰 침샘(parotid gland (귀밑샘), submandibular gland (턱밑샘), sublingual Gland (혀밑샘))에서 분비되는 점액성의 불투명한 액체
  • 침의 분비기전
    1. conditioned reflex (조건반사, 음식물 없이 생각만)
    2. unconditioned reflex (무조건반사, 기계적∙화학적 자극)
  • 침샘(타액선, salivary gland)

    • 귀밑샘(이하선, parotid gland)
    • 턱밑샘(악하선, submandibular gland)
    • 혀밑샘(설하선, sublingual gland)
  • 침의 작용
    • 소화작용
    • 삼킴작용
    • 청정작용
  • 위(Stomach)
    식도에 이어지는 주머니 모양의 근육성 기관으로 가로막 바로 밑 배 안의 왼쪽에 있는 장기
  • 위의 구조

    • 들문(분문, cardia)
    • 날문(유문, pylorus)
    • 위바닥(위저, fundus)
    • 위몸통(위체, body)
    • 모패임(각절흔, angular notch)
  • 위액 분비
    위샘(gastric gland)에서 하루에 약 1,500∼2,500 mL 정도의 위액이 분비됨
  • 위샘의 구성 세포
    • 으뜸세포(주세포, chief cell)
    • 벽세포(parietal cell)
    • 목점액세포(mucous neck cell)
  • 위샘의 종류
    • cardiac gland (들문샘)
    • pyloric gland (날문샘)
    • fundic gland (위바닥샘)
  • 위액의 성분
    • Pepsin
    • 염산(HCl)
    • Lipase
    • Renin
    • 점액
  • 식도에 이어지는 주머니 모양의 근육성 기관으로 가로막 바로 밑 배 안의 왼쪽에 있는 장기
  • 위의 구조

    • 들문(분문, cardia)
    • 날문(유문, pylorus)
    • 위바닥(위저, fundus)
    • 위몸통(위체, body)
    • 모패임(각절흔, angular notch)
  • 위에는 혈관과 림프관이 발달되어 있으며, 복강신경얼기(celiac plexus)에서 나온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이 분포
  • 위는 강한 염산과 소화효소로 구성된 위액(gastric juice)을 분비하여 입을 통해 들어온 세균을 없애고 음식물을 소화시킴
  • 위벽은 두껍고 붉으며, 많은 주름이 잡혀 있는 점막(mucosa)
  • 점막에는 약 3,500만 개 정도의 위샘(gastric gland)이 있어서 하루에 약 1,500∼2,500 mL 정도의 위액이 분비됨
  • 위샘의 구성 세포
    • 으뜸세포(주세포, chief cell)
    • 벽세포(parietal cell)
    • 목점액세포(mucous neck cell)
  • 위샘의 종류
    • cardiac gland (들문샘)
    • pyloric gland (날문샘)
    • fundic gland (위바닥샘)
  • 위액
    무색투명한 염산과 소화효소인 Pepsin, Lipase, Renin 그리고 점액이 혼합으로 물, Na+, K+, PO4
    1. , HCO4
    2. , SO4
    3. 과 같은 전해질과 내인인자(intrinsic factor)로 작용하는 유기물질로 구성됨
  • Pepsin
    으뜸세포에서 분비되는 pepsinogen이 염산에 의해 pepsin으로 활성화되어, 단백질을 polypeptide나 peptone으로 분해함
  • HCl
    벽세포에서 분비되며 강산성(pH 0.5∼1.5)으로, 날문 부분의 G세포에서 분비되는 Gastrin에 의해 분비가 촉진됨
  • 염산의 작용
    • Pepsinogen을 pepsin으로 전환
    • 위의 내용물을 산성으로 만드는 작용
    • 음식물의 세균 및 이물질을 죽이는 작용 및 세균번식 방지
    • 내용물의 발효를 억제하고 음식물의 부패를 방지
    • 레닌을 활성화시키고, 젖 속에 있는 casein을 paracasein으로 응결시켜 pepsin의 작용을 받도록 함
  • Intrinsic factors
    벽세포에서 분비되며 B12와 결합하여 돌창자(ileum)에서 흡수됨. 부족 시 악성 빈혈이 발생됨
  • Mucus
    Mucous neck cell (목점액세포)에서 분비되고, 위 점막을 둘러싸서 pepsin과 HCl에 의해 점막이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
  • 위액 분비의 조절과 촉진

    • 뇌상(cephalic phase)
    • 위상(gastric phase)
    • 장상(intestinal phase)
  • 식욕액(appetite juice)

    대뇌 고위중추에 기억된 정보에 의해 미주신경을 통하여 위에 자극이 주어져 분비되는 위액을 말하며, 음식물이 입안에만 있고 위로 내려가지 않았음에도 위액이 분비되는 경우를 말함
  • 작은창자위반사(소장위반사, enterogastric reflex)

    샘창자 속에 내용물이 많이 확장된 상황에서 반사적으로 위의 운동과 위액 분비가 억제되는 것
  • 창자가스트론(enterogastrone)

    샘창자 점막에 지방과 단백질의 분해산물 및 산성내용물이 접촉하면 샘창자 점막에서 분비되어 혈액순환을 따라 위에 이르는데, 이것 역시 위의 운동과 위액 분비를 억제함으로써 배출이 지연됨